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5일차
    스터디플래너/패캠챌린지 2021. 11. 5. 22:18


    [오늘 진도]

    Part 1. 자료구조 이론

    Ch 09. 자료구조 (트리)

    - 01. 트리와 이진 탐색 트리 1

    - 01. 트리와 이진 탐색 트리 2


    오늘은 트리에 대해 배웠다. 트리 다음 힙만 배우면 자료구조가 끝나고 이제 알고리즘을 배운다. 11월의 시작과 함께 강의를 들으며 패캠 챌린지를 시작했는데 벌써 자료구조가 하나만 남았다는 게 신기했다. 물론 나는 트리 중 반만 들었고, 앞으로 힙도 세 개나 들어야 하지만 그냥 스스로를 토닥토닥해주고 싶다. 트리란 노드와 브랜치를 이용하여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라고 했다.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준비할 때 그래프와 트리의 차이점을 사이클의 유무로 공부했는데 이렇게 연결하니 신기했다. 역시 뭐든 배워두면 좋다는 걸 다시금 깨달았다. 내가 후기를 쓸 때마다 까듯이 쓴 것 같은데 사실 내가 패캠에서 지금 듣고 있는 강의를 나름 잘 이해할 수 있는 이유는 미리 부스트 코스로 공부해둔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코드를 작성할 때 쓴 트리의 유형이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라는 걸 배우진 않은 것 같은데 아마 짤렸을 것 같다. 이진 탐색 트리는 한 노드의 브랜치가 최대 두 개인 이진 트리에서 왼쪽 자식 노드는 자기보다 작고, 오른쪽 자식 노드는 본인보다 크다는 규칙을 더한 자료구조이다. 그래서 이진 탐색 트리에서 자료를 추가할 때, 자료를 검색할 때 어떻게 코드로 구현하는가를 배웠다. 전에 연결 리스트를 배워서 그런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next나 그다음 노드로 이동하는 코드들이 낯설지 않았다. 익숙했다. 그리고 노드를 삭제하는 경우, 마지막 노드인 Leaf node인 경우, 자식 노드가 하나일 때, 자식 노드가 두 개일 때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코드로 구현하는 건 다음 강의인데 아마 이 강의가 하이라이트이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자식 노드가 두 개인 노드를 삭제할 때에 대해 부스트 코스에서 배운 것과 여기서 배운 게 조금 달랐다. 나는 아직 그 강의를 기준으로 이해했는데 아마 코드로 작성해보면 조금 다르지 않을까 싶다. 아직 코드를 안 봐서 그런가 재밌는 것 같다. 얼른 코드 작성해봐야지,,, 

     

     


    https://bit.ly/3FVdhDa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